안녕하세요 친절한 폴입니다.
오늘은 비슷하면서도 조금 다른!
조동사 must 와 should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re you ready? Let's get it!!!
조동사 must
모두가 이 정도는 다 아시겠지만
조동사 뒤에는 무조건! 동사 원형이 옵니다.
또한 must는 '~해야한다' 라는 강한 의무와
'~임에 틀림없다' 라는 강한 추측의 2가지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보시기 좋게 표로 준비해 보았습니다.
의무 | 평서문 | 부정문 |
must + 동사 원형: ~해야 한다 (= have/has to) |
1)금지: must not + 동사 원형: ~해서는 안된다 2)불필요: don't/doesn't have to +동사원형 : ~할 필요가 없다 (= doesn't need to, need not) |
|
의문문 | 대답 | |
Must + 주어 + 동사원형~? | Yes, 주어 + must No, 주어 + must not.(금지) No, 주어 + don't/doesn't have to(불필요) |
|
강한 추측 |
평서문 | 부정문 |
must be : ~임에 틀림없다 | cannot(can't) be: ~일리가 없다 |
간단하게 위의 표와 같이 정리해 볼 수 있겠습니다.
의무와 강한 추측! 그것을 통한 평서문과 부정문 그리고 의문문과 대답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must의 경우는 문장을 보시고
해석을 해보시면서 ~해야만 한다 일지 아니면 ~임에 틀림없다 인지를 분별해가는 훈련을 하시면 좋습니다.
문장에서 주는 다른 단어들을 통해 힌트를 얻어가시는 노력을 하신다면
강한 추측과 강한 의무의 해석 차이는 생각보다 쉽게 하실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예문을 한번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We must come back home until midnight.
우리는 자정까지는 반드시 집에 돌아와야만 한다.(의무)
She doesn't have to wait in line because she already booked it.
그녀는 이미 예약을 했기 때문에 줄을 서서 기다릴 필요가 없었다.(불필요)
You must not forget what I told you last night.
너는 내가 어제 말한 것을 반드시 잊어버려서는 안된다. (금지, must 부정문)
I must be able. Yes! I can't be foolish to make the same problems again and again.
나는 반드시 할 수 있음에 틀림없다. 맞아! 나는 같은 문제를 반복해서 만들리가 없어.
조동사 should
조동사의 should도 must와 마찬가지로
뒤에는 동사원형을 사용하는 것은 기본입니다:)
일반적으로 뜻은 '도덕적인 의무나 충고, 또는 조언' 등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면 '우리는 거짓말을 하면 안된다.'
'우리는 쓰레기를 길에 버려서는 안된다' 와 같은 느낌의 문장들은
must 보다는 should를 사용합니다.
보시기 좋게 표로 정리 해보았습니다 ^^
형태 | 의미 | ||
평서문 | should + 동사원형 (= ought to) | ~해야 한다 | |
부정문 | should not(shouldn't) +동사원형 ( = ought not to) |
~해서는 안된다 | |
의문문 | should + 주어 + 동사원형? | 답변 |
Yes, 주어 + should No, 주어 + should not.(=shouldn't) |
should로 파생되는 평서문, 부정문, 의문문과 그에 대한 답변도 정리하였습니다.
2가지만 기억하세요 1)조동사 뒤에는 동사원형!
그리고 2)조동사로 물어보면 조동사로 답하기 정도만!
We should save the earth. = We ought to save the earth
우리는 지구를 구해야 한다.
We should not tell a lie = We ought not to tell a lie.
우리는 거짓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Should I go first?
제가 먼저 가도 될까요?
Yes, you should / No, you shouldn't
네 그러세요 / 아니요 그러면 안됩니다.
이 정도로 조동사 must와 should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강제성에 대해서 한번 더 설명드린다면...
must는 강제적인 의무에 대해서 사용하며,
should는 도덕적인 의무 또는 충고에 대해서 사용한다고 이해하시면
조금 더 구별이 잘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럼 질문 하나 드립니다.
너는 그것을 내일 까지 제출해야한다(submit 사용) 한다면 문장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
.
.
.
.
.
.
.
.
.
.
.
.
.
네 바로 이것은 의무사항이기에 must가 맞습니다.
You must submit it until tomorrow 로 영작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너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도와야 한다는 영작을 할 때
must일 까요 should일까요? 생각해보시고 더 내려보시기 바랍니다.
.
.
.
.
.
.
.
.
.
.
.
.
.
.
.
내 이것은 should가 더 적당합니다. 그래서 영작은
You should help those who are in need. 정도로 영작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조동사 must와 should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유익한 포스팅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누구나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nd 12th which one is correct? GEE잉글리쉬 (0) | 2022.09.06 |
---|---|
의문사와 의문문에 대해서 알아보기 - GEE잉글리쉬 (0) | 2022.09.06 |
조동사 will과 be going to 알아보기 - GEE잉글리쉬 (6) | 2022.09.04 |
조동사 can may - GEE잉글리쉬 (1) | 2022.09.03 |
진행시제 ving 알아보기 - GEE잉글리쉬 (0) | 2022.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