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누구나영문법

조동사 can may - GEE잉글리쉬

안녕하세요 오늘도 친절할 폴입니다:)

오늘은 조동사 can과 ma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동사-can-may
조동사 may와 can을 알아보아요:)

 

 

 

조동사란?

일단 먼저 조동사의 

개념적 정의부터 말씀드려보겠습니다.

그럴 싸 하게 말한 것 같지만

'조' 는 한자어의 '돕다 조'를 가져온 것이고

동사는 여러분들이 아는 동사입니다.

즉, 동사를 도와주는 것! 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영어로는 'helping verb'라고 부릅니다.

동사를 도와주는 친구이기에,

동사와의 거리는 아주 가까워야 하겠지요^^

그렇기에 바로 동사 앞! 에 위치합니다.

이렇게 조동사와 동사의 관계를 이해하고 

공부를 하신다면 크게 암기 할 것이 없을 것 같아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하여 보았습니다.

 

조동사 뒤에 동사의 형태는?

조동사 뒤에 동사는 

무조건 동사 원형이 온다고 기억해주세요!

조동사는 일반적인 문장의 평서문, 부정문, 부정문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각각의 형태를 살펴보겠습니다.

 

평서문 주어+ 조동사+ 동사 원형
부정문 주어+ 조동사+ not+ 동사 원형
의문문 조동사+ 주어+ 동사 원형~? 대답 Yes, 주어+ 조동사
No, 주어 + 조동사 

 

 

 

우리는 조동사를 계속 살펴보고 있습니다. 

위의 표를 통해 조동사의 가능한 형태를 살펴보았고,

이제는 조동사 can과 may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조동사 can(과거형은 could)

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조동사 can 뒤에는 당연히 동사 원형이 나옵니다.

can의 뜻은  문장에 따라서 능력, 가능성, 허락 등을 의미합니다.

can으로 만들 수 있는 문장의 조합들은

저번 문법 설명과 같이 평서문, 부정문, 그리고 의문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평서문 부정문 의문문
형태 can + 동사 원형 cannot(can't) + 동사 원형 Can + 주어 + 동사 원형?
능력 ~ 할 수 있다
(= be able to)
~할 수 없다
(= be not able to)
대답하는 
2가지 방법
Yes, 주어+ can
No, 주어+ can't
가능성 ~일 수도 있다
(약간 추측과 비슷)
~일리가 없다
허락 ~해도 된다
(= may)
~하면 안된다
(=may not)

 

You can go home now because you got your job done. (허락)

(너는 할 것을 다 했으니 집에 가도 좋다)

 

She can speak English very well like a native one(능력)

그녀는 원어민 처럼 영어를 잘 말한다.

 

Can I enter the room? (허락)

제가 그 방에 들어가도 될까요?

Yes, you can.  

No, you can't.

 

 

 

can과 같은 뜻의 be able to

 

can이 ~할 수 있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때는

be able to라는 표현과 바꾸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어에 맞추어 am, are, is, was, were를 사용하여 사용하시면 되구요.

be able to 는 시제를 사용하여 가능성을 사용할 때 오히려 더 많이 사용합니다.

과거의 할 수 있었다를 표현하신다고 가정하다면!

I was able to ask him what I wanted.

나는 그에게 내가 원하는 것을 물어볼 수 있었다 

이런식으로 과거시제의 할 수있었다라고 말할 때에는

be able to를 사용합니다.

could는 문장의 상황에 따라서

'~할수 있을것이다', ' ~할 수 있을거야' 라는 약간의 가능성과 추측성의

의미도 내포하기도 합니다.

이것과 구분되도록 과거시제의 할수 있었다 라는 뉘앙스의

문장을 생각하신다면 be동사의 과거형 + able to를 쓰시면 좋습니다.

 

 

 

조동사 may(과거형은 might)

다음으로 볼 조동사는 may입니다.

may는 can 과 허락을 나타낼 때는 100%같은 의미를 지닙니다.

그리고 약한 추측을 나타낼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표를 통해 가능한 표현 공식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평서문 부정문 의문문
형태 may + 동사원형 may not + 동사원형 May + 주어 +동사원형~?
약한
추측
~일지도 모른다 ~이 아닐지도 모른다 대답 Yes, 주어+may.

No, 주어+may not
허락 ~해도 된다
(= can)
~하면 안된다
(=cannot)

 

자 그럼 예문을 한번 준비해보겠습니다.

She may be into you.(추측)

그녀가 아마 너에게 관심이 있을지도 몰라

 

You may sit here.(허락)

당신은 이제 앉으셔도 됩니다.

 

May I go to the restroom?(허락의 질문)

제가 화장실 좀 다녀와도 될까요?

 

지금까지 조동사 can과 may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will과 be going to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